자바스크립트 변수 선언, 자료형, 연산자
*제 개인적인 정리이기 때문에 다소 설명이 모호할 수 있습니다.
또한 "html,css,자바스크립트 do it" 책에 내용이 다소 포함되어 있습니다.
변수 알아보기
변수
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바뀔 수 있는 데이터를 말한다.
변수 선언 규칙
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별할 수 있도록 이름을 선언해야하고, 이를 변수 선언이라 말한다.
1. 변수 이름은 영어, 언더스코어(_), 숫자를 사용
첫 글자에는 숫자가 들어갈 수 없고,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는 사용이 불가하다.
2. 예약어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 불가var
와 같은 예약어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고, 영어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인식한다.
3. 두개 이상 단어를 연결할 때는 중간에 대문자를 섞어 사용
두 단어 이상인 이름은 var totalArea =
처럼 중간에 대문자를 섞어 사용한다
필수는 아니지만, 많은 개발자들이 이 방법을 사용한다.
4. 변수 이름은 의미있게 작성
코드를 작성할 때 수 많은 변수를 지정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다. 따라서 변수 이름만 보고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도록 작성해야한다.
변수 선언
변수 선언 방법에는 var 예약어를 사용한다. 또한 '='기호를 통해 값을 할당한다.
선언과 값 할당은 같이 할 수 있고 따로 할 수도 있다.
var birthYear ;
birthYear = 1996 ; // 따로 선언
var birthYear = 1996 ; // 한 번에 선언
자료형
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자료의 형태를 자료형이라 말한다. 예로 1000은 숫자이고 '하이'는 문자라는 것을 알려줘야 하는 것이다.
- 기본 유형
종류 | 설명 |
---|---|
숫자형 | 따옴표(' , ")없이 숫자로만 표기 |
문자열 | 따옴표(' , ")로 묶어서 표기 |
논리형 | true, false라는 2가지 값만 있는 유형 |
숫자열
다른 언어와 다르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실수와 정수 둘다 숫자열로 구분한다.
다만 실수를 계산하는 값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.
문자열
따옴표(' , ")로 묶은 데이터를 말한다. 숫자도 따옴표(' , ")로 묶었다면 문자열로 인식한다.
만일 큰따옴표( "" )안에 입력한다면 작은따옴표( '' )를 사용한다.
논리형
불린(boolean)유형이라고도 말하며, 참과 거짓 값을 표현하는 자료형이다.
- 복합 유형
종류 | 설명 |
---|---|
배열 |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저장 |
객체 | 함수와 속성을 함께 포함 |
배열
하나의 변수에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다. 이때 데이터 값을 쉼표(,)로 구분하여 대괄호로 묶는다.
var season = ["봄", "여름", "가을", "겨울"]
이때 앞에 나열한 순서부터 0번을 부여받는다.
season[0] = "봄"
season[2] = "가을"
- 특수 유형
종류 | 설명 |
---|---|
undefined | 자료형이 지정되지 않았을 때 상태 |
null | 값이 유효하지 않는 상태 |
연산자
연산자는 프로그램에서 특정항 동작을 하도록 지시하는 기호이다.
크게 산술 연산자, 할당 연산자, 연결 연산자, 비교 연산자 등이 있다.
- 산술 연산자
우리가 흔히 수학 계산에 사용하는 연산자이다. 기호 양 옆에 있는 값을 피 연산자라 하며 숫자나 변수가 위치한다.
종류 | 설명 |
---|---|
+ , - , * , / | 수학 계산이랑 동일하다 |
% | 첫 번째 값을 두 번째 값으로 나눈 나머지 |
++ | 피연산자를 1씩 증가 |
-- | 피연산자를 1씩 감소 |
==, - - 연산자는 위치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다.var a = 10 ; var b = a++ + 5
여기서 b = 15값이 나온다. 반면var a = 10 ; var b = ++a + 5
여기서는 b = 16값이 나온다.
연산자가 앞에 있을 경우에는 값을 계산한 후 식을 진행하고 변수나 숫자 뒤에 나올 경우 계산식을 진행한 후 a 변수를 다시 지정하는 것이다.
- 할당 연산자
오른쪽 식을 왼쪽 변수에 할당하는 연산자를 말한다.
종류 | 예시 설명 |
---|---|
= | y = x + 3 오른쪽 값을 y 변수에 할당 |
+= | y = y + x 와 동일 |
-= | y = y - x 와 동일 |
*= | y = y * x 와 동일 |
/= | y = y / x 와 동일 |
%= | y = y % x 와 동일 |
- 연결 연산자
둘 이상의 문자열을 합쳐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연산자. 기호는 +를 사용한다.document.write (birthYear + "년에 태어난 사람의 나이는" + age + "세입니다.");
- 비교 연산자
피연산자 2개를 비교해서 참이나 거짓으로 결괏값을 나타내는 연산자
종류 | 예시 설명 |
---|---|
== | 같으면 true |
=== | 자료형까지 같으면 true |
!= | 같지 않으면 true |
!== | 자료형까지 같지 않으면 true |
< | 오른쪽보다 작으면 true |
<= | 오른쪽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 |
> | 오른쪽보다 크면 true |
>= | 오른쪽보다 크거나 같으면 ture |
== vs === , != vs !==
둘다 비슷해 보이지만, === 경우 문자열까지 비교를 한다.
3 == "3" //true
3 === "3" // false
비교 연산자에서는 문자열도 비교가 가능하다. 비교 방법은 문자열을 아스키값으로 변환하여 비교한다.
- 논리 연산자
true, false값을 처리하는 연산자이다.
종류 | 예시 설명 |
---|---|
|| (or연산자) | 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 |
&& (and연산자) | 피연산자 모두 true일 경우 true |
! (not연산자) | 피연산자의 반댓값을 지정 |